맨위로가기

2018년 동계 올림픽 스켈레톤 여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8년 동계 올림픽 스켈레톤 여자 경기는 2018년 2월 16일과 17일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예선을 통과한 20명의 선수가 참가했다. 영국 대표 리지 야놀드가 스켈레톤 역사상 최초로 올림픽 2연패를 달성했으며, 야클린 뢸링과 로라 디스가 각각 은메달과 동메달을 획득했다. 나이지리아의 시미델레 아데아그보는 아프리카 대륙을 대표하여 동계 올림픽에 출전한 최초의 선수로 기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8년 동계 올림픽 스켈레톤 - 2018년 동계 올림픽 스켈레톤 남자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스켈레톤 남자 경기는 30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4차례 시도 기록 합산으로 순위를 결정, 윤성빈이 금메달을 획득하며 대한민국 스켈레톤 역사를 새로 썼고 가나가 처음으로 동계 올림픽 스켈레톤 종목에 참가했다.
  • 2018년 동계 올림픽 스켈레톤 - 2018년 동계 올림픽 스켈레톤 예선
    2018년 동계 올림픽 스켈레톤 예선은 국제봅슬레이스켈레톤경기연맹 랭킹을 기준으로 남자 30명과 여자 20명의 출전 선수를 선발하는 과정으로, 대륙별 할당, 개최국 쿼터, 도핑 스캔들로 인한 쿼터 제한 등을 고려하여 쿼터가 배분되었으며 대한민국은 개최국 자격으로 남녀 모두 출전 쿼터를 확보했다.
  • 2018년 동계 올림픽 여자 종목 - 2018년 동계 올림픽 컬링 여자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컬링 여자 경기는 10개국이 참가하여 스웨덴이 금메달, 대한민국이 은메달, 일본이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대한민국은 컬링 열풍을 일으키는 데 기여했다.
  • 2018년 동계 올림픽 여자 종목 - 2018년 동계 올림픽 아이스하키 여자
    2018년 동계 올림픽 아이스하키 여자 종목은 8개국이 참가하여 강릉의 두 경기장에서 치러졌으며, 미국이 금메달, 핀란드가 동메달을 획득했고, 대한민국은 남북 단일팀으로 참가했으며, 러시아 도핑 스캔들로 일부 러시아 선수들은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 자격으로 출전했다.
  • 2018년 동계 올림픽 경기 종목 - 2018년 동계 올림픽 봅슬레이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봅슬레이는 남자 2인승, 남자 4인승, 여자 2인승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독일이 최다 메달을 획득, 대한민국은 남자 4인승에서 은메달을 획득했고 22개국 164명의 선수가 참가, 나이지리아의 첫 동계 올림픽 출전도 있었다.
  • 2018년 동계 올림픽 경기 종목 - 2018년 동계 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 여자 500m
    2018년 동계 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 여자 500m 경기는 2018년 2월 18일에 개최되었으며, 일본의 고다이라 나오가 올림픽 신기록을 세우며 금메달을 차지했고, 이상화는 은메달을 획득했다.
2018년 동계 올림픽 스켈레톤 여자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대회 정보
종목여자 스켈레톤
대회2018년 동계 올림픽
스켈레톤 픽토그램
스켈레톤 픽토그램
개최지알펜시아 슬라이딩 센터
날짜2018년 2월 16일–17일
참가 선수20명
참가 국가14개국
우승 기록3:27.28
메달리스트
금메달리지 야놀드
금메달 국가GBR
은메달야클린 뢸링
은메달 국가GER
동메달로라 디즈
동메달 국가GBR
올림픽 연혁
이전 대회2014
다음 대회2022
관련 문서
예선예선
남자남자

2. 예선

2018년 동계 올림픽 스켈레톤 예선 참고.

2018년 1월 14일 기준 4개의 투어 경기를 합산한 랭킹으로 20명의 선수가 예선에 통과했다. 상위 2개 국가는 3개, 다음 4개 국가는 2개, 나머지 6개 국가는 1개의 쿼터를 받았다. 네덜란드는 2개의 쿼터 중 하나를 거부했다. 나이지리아오스트레일리아는 각각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대륙 쿼터를 받았으며, 대한민국은 개최국 자격으로 예선에 통과했다.[3]

2. 1. 출전 자격

2018년 동계 올림픽 스켈레톤 본경기에 앞서 출전권을 따내기 위한 예선이 진행되었다. 2018년 1월 14일 기준의 종합순위 (4개 투어 대회 결과를 합산)에 따라 총 20명의 선수가 출전권을 획득하였다. 상위 2개국은 총 세 명의 선수를, 그다음 4개국은 두 명의 선수를, 그다음 6개국은 한 명의 선수를 출전시킬 수 있었다. 이로써 최대 출전쿼터를 확보한 국가 출신 선수 중 출전권이 주어지지 못한 나머지 선수들은 제외하는 조건에서, 상위 45위까지의 선수들이 올림픽에 출전할 수 있었다. 한편 대륙별 출전쿼터도 시행되었는데 아프리카 대표로 나이지리아가, 오세아니아 대표로 오스트레일리아가 출전하였으며 대한민국은 개최국 지위로 출전권을 확보하였다.[6]

올림픽에 참가하는 선수들은 2016/17 시즌이나 2017/18 시즌에 열린 총 세 번의 대회에서 다섯 번의 레이스를 펼쳤어야 출전자격을 갖추게 된다.[7]

3. 경기 결과

스켈레톤 여자 경기는 2월 16일부터 2월 17일까지 1, 2, 3, 4차 시도를 진행하여 종합기록으로 순위를 결정했다.[5]

순위순번선수국가1차기록1차순위2차기록2차순위3차기록3차순위4차기록4차순위총합비고
14리지 야놀드align=left|51.66 TR152.30951.86251.46 TR13:27.28
7야클린 뢸링align=left|51.74252.12452.04751.8333:27.73+0.45
10로라 디스align=left|52.00652.03251.96551.9153:27.90+0.62
9야닌 플로크align=left|51.81352.07351.92452.12103:27.92+0.64
6티나 헤르만align=left|51.98452.311051.83151.8643:27.98+0.70
8안나 페른슈테트align=left|51.99552.17551.88352.0063:28.04+0.76
13렐데 프리에둘레나align=left|52.14752.17552.09952.0983:28.49+1.21
17킴벌리 보스align=left|52.33852.26751.99652.0173:28.59+1.31
4엘리자베스 배티align=left|52.451252.01152.371451.8223:28.65+1.37
5제인 섀널align=left|52.421152.28852.281052.0983:29.07+1.79
16마리나 질라르도니align=left|52.341052.351252.281052.46133:29.43+2.15
11미렐라 라네바align=left|52.481452.331152.06852.65153:29.52+2.24
12케이티 얼랜더align=left|52.33852.401352.331252.55143:29.61+2.33
15킴 멜르망align=left|52.561652.541452.341352.26113:29.70+2.42
2정소피아align=left|52.471352.671552.471552.28123:29.89+2.61
19재키 내러콧align=left|52.531552.761652.621752.82173:30.73+3.45
18켄델 워센버그align=left|52.771752.961752.541652.65153:30.92+3.64
1마리아 마리넬라 마질루align=left|53.311853.471953.481853.66193:33.92+6.64
3오구치 다카오align=left|53.821953.411853.621953.11183:33.96+6.68
20시미델 아데아보align=left|54.192054.582053.732054.28203:36.78+9.50



TR – 트랙 신기록

리지 야놀드()는 1차 시기에서 트랙 신기록(TR)을 세웠으나, 2차 시기에서는 평범한 성적을 거두었다. 3차 시기에서 2위로 복귀하며 금메달에 근접했고, 4차 시기에서 다시 트랙 신기록을 세우며 스켈레톤 역사상 최초로 올림픽 2연패(남녀 불문)이자 최초의 여자 다관왕이 되었다.[2]

야클린 뢸링()은 꾸준한 성적으로 은메달, 로라 디스()는 동메달을 획득하며, 두 선수 모두 첫 올림픽 메달을 기록했다.[2]

야닌 플로크()는 3차 시기까지 1위를 유지했지만, 4차 시기에서 부진하며 최종 4위를 기록, 시상대에 오르지 못했다.[2]

시미델레 아데아그보()는 나이지리아 최초의 동계 올림픽 스켈레톤 선수였다.

3. 1. 1, 2차 시기

스켈레톤 여자 경기는 2018년 2월 16일에 1, 2차 시기가 진행되었다.[5]

순위번호선수국가1차 시기1차 시기 순위2차 시기2차 시기 순위총 시간차이
14리지 야놀드align=left|51.66152.3091:43.96
7야클린 뢸링align=left|51.74252.1241:43.86+0.10
9야닌 플로크align=left|51.81352.0731:43.88+0.12
10로라 디스align=left|52.00652.0321:44.03+0.17
6티나 헤르만align=left|51.98452.31101:44.29+0.43
8안나 페른슈테트align=left|51.99552.1751:44.16+0.30
13렐데 프리에둘레나align=left|52.14752.1751:44.31+0.45
17킴벌리 보스align=left|52.33852.2671:44.59+0.73
4엘리자베스 배티align=left|52.451252.0111:44.46+0.60
5제인 섀널align=left|52.421152.2881:44.70+0.84
16마리나 질라르도니align=left|52.341052.35121:44.69+0.83
11미렐라 라네바align=left|52.481452.33111:44.81+0.95
12케이티 얼랜더align=left|52.33852.40131:44.73+0.87
15킴 멜르망align=left|52.561652.54141:45.10+1.24
2정소피아align=left|52.471352.67151:45.14+1.28
19재키 내러콧align=left|52.531552.76161:45.29+1.43
18켄델 워센버그align=left|52.771752.96171:45.73+1.87
1마리아 마리넬라 마질루align=left|53.311853.47191:46.78+2.92
3오구치 다카오align=left|53.821953.41181:47.23+3.37
20시미델 아데아보align=left|54.192054.58201:48.77+4.91


3. 2. 3, 4차 시기

3, 4차 시기는 2월 17일에 진행되어 최종 순위를 결정했다.[5]

리지 야놀드는 1차 시기에서 트랙 신기록을 세웠으나, 2차 시기에서는 평범한 기록으로 주춤했다. 그러나 3차 시기에서 2위로 복귀하며 금메달에 대한 희망을 이어갔고, 4차 시기에서 다시 한번 트랙 신기록을 세우며 스켈레톤 역사상 최초로 올림픽 2연패를 달성한 선수이자 최초의 여자 다관왕이 되었다.[2]

자클린 뢸링은 꾸준한 성적으로 은메달을 획득했고, 로라 디스는 동메달을 차지하며 두 선수 모두 첫 올림픽 메달을 목에 걸었다.[2]

야닌 플록은 3차 시기까지 선두를 유지했지만, 마지막 4차 시기에서 부진하여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다.[2]

순위선수국가3차 시기3차 시기 순위4차 시기4차 시기 순위
리지 야놀드51.86251.46 TR1
야클린 뢸링52.04751.833
로라 디스51.96551.915
4야닌 플록51.92452.1210
5티나 헤르만51.83151.864
6안나 페른슈테트51.88352.006
7렐데 프리에둘레나52.09952.098
8킴벌리 보스51.99652.017
9엘리자베스 배티52.371451.822
10제인 섀널52.281052.098
11마리나 질라르도니52.281052.4613
12미렐라 라네바52.06852.6515
13케이티 얼랜더52.331252.5514
14킴 멜르망52.341352.2611
15정소피아52.471552.2812
16재키 내러콧52.621752.8217
17켄델 워센버그52.541652.6515
18마리아 마리넬라 마질루53.481853.6619
19오구치 다카오53.621953.1118
20시미델 아데아보53.732054.2820


3. 3. 최종 순위

순위순번선수국가1차기록1차순위2차기록2차순위3차기록3차순위4차기록4차순위총합비고
14리지 야놀드align=left|51.66 TR152.30951.86251.46 TR13:27.28
7야클린 뢸링align=left|51.74252.12452.04751.8333:27.73+0.45
10로라 디스align=left|52.00652.03251.96551.9153:27.90+0.62
49야닌 플로크align=left|51.81352.07351.92452.12103:27.92+0.64
56티나 헤르만align=left|51.98452.311051.83151.8643:27.98+0.70
68안나 페른슈테트align=left|51.99552.17551.88352.0063:28.04+0.76
713렐데 프리에둘레나align=left|52.14752.17552.09952.0983:28.49+1.21
817킴벌리 보스align=left|52.33852.26751.99652.0173:28.59+1.31
94엘리자베스 배티align=left|52.451252.01152.371451.8223:28.65+1.37
105제인 섀널align=left|52.421152.28852.281052.0983:29.07+1.79
1116마리나 질라르도니align=left|52.341052.351252.281052.46133:29.43+2.15
1211미렐라 라네바align=left|52.481452.331152.06852.65153:29.52+2.24
1312케이티 얼랜더align=left|52.33852.401352.331252.55143:29.61+2.33
1415킴 멜르망align=left|52.561652.541452.341352.26113:29.70+2.42
152정소피아align=left|52.471352.671552.471552.28123:29.89+2.61
1619재키 내러콧align=left|52.531552.761652.621752.82173:30.73+3.45
1718켄델 워센버그align=left|52.771752.961752.541652.65153:30.92+3.64
181마리아 마리넬라 마질루align=left|53.311853.471953.481853.66193:33.92+6.64
193오구치 다카오align=left|53.821953.411853.621953.11183:33.96+6.68
2020시미델 아데아보align=left|54.192054.582053.732054.28203:36.78+9.50



TR – 트랙 신기록[2]

참조

[1] 웹사이트 Venues https://web.archive.[...] Pyeongchang 2018 Olympic Organizing Committee for the 2018 Winter Olympics 2017-12-26
[2] 웹사이트 Lizzy Yarnold takes skeleton gold to make Winter Olympics history for Britain https://www.theguard[...] 2018-02-17
[3] 웹사이트 Quota Allocation PyeongChang Olympic Winter Games 2018 - Women's Skeleton - IBSF 14 January 2018 http://www.ibsf.org/[...] International Bobsleigh and Skeleton Federation 2018-01-15
[4] 웹사이트 Qualification Systems for XXIII Olympic Winter Games, PyeonChang 2018 Skeleton http://www.ibsf.org/[...] International Bobsleigh & Skeleton Federation 2018-01-20
[5] 웹사이트 Final results http://ibsf.sportres[...] 2018-02-17
[6] 웹인용 Quota Allocation PyeongChang Olympic Winter Games 2018 - Men's Skeleton - IBSF 14 January 2018 http://www.ibsf.org/[...] 국제 봅슬레이 스켈레톤 연맹 2018-01-15
[7] 웹인용 Qualification Systems for XXIII Olympic Winter Games, PyeonChang 2018 Skeleton http://www.ibsf.org/[...] 국제 봅슬레이 스켈레톤 연맹 2018-01-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